본사와의협상 3

편의점 배분율 협상의 기술

편의점 배분율 협상의 기술1%의 차이가 연 1000만 원의 수익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.재계약을 앞둔 점주라면, 배분율 협상은 단순한 숫자 조정이 아닌 생존 전략입니다.🧾 인트로: 배분율, 제대로 알고 협상하자편의점 운영에서 가장 직접적인 수익 구조는 ‘배분율’입니다.배분율은 말 그대로 매출이익(GP)을 본사와 점주가 나누는 비율이죠.예를 들어 GP 35% 구조에서 본사가 30%, 점주가 70%를 가져간다면이를 조금만 조정해도 수익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1. 배분율이 왜 중요한가?배분율은 단순한 숫자 같지만, 편의점 수익 구조의 핵심입니다.예를 들어 매월 매출 4000만 원, GP 35%의 매장에서점주 배분율이 70%면 매월 약 980만 원의 이익이 생깁니다.반면 68% 일 경우엔 약 952만 ..

권리금 조정 전략: 내가 원하는 금액을 이끌어내는 현실적 접근법

권리금 조정 전략: 내가 원하는 금액을 이끌어내는 현실적 접근법10년 동안 직접 2개의 매장을 오픈하고재계약하며 또한 주변 매장들 계약들을 보면같은 매출과 수익률이어도 배분율과 권리금이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.예를 들어 일 매출 1.800(부가세 포함) 10년 차 매장의 재계약 시 배분율은 9:1 기본배분율은 85% 권리금 2.000에 재계약.2000의 권리금은 동의서 비용이추가된 부분입니다.다른 매장의 경우 9:2까지도 받고 있습니다.하지만 상대적으로 매출이 높으면서도적게 받고 계약하는 경우도 종종 보고 있습니다.권리금 협상은 단순한 금액 제시가 아닌, 본사 조건과 운영자의 전략이 맞물린 과정입니다. 매출과 조건에 따라 배분율, 지원금, 폐기 보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보존받을 수 있으며, 지사장급 ..

계약시 본사 를 움직이는 말 한마디

계약 시 본사를 움직이는 말 한마디“조건 협상은 어느 타이밍에, 어떤 식으로 꺼내야 할까요?”🟨 재계약 6개월 전부터 분위기가 바뀝니다.편의점 가맹계약은 대부분 5년 단위로 체결됩니다.계약이 종료되기 약 6개월 전부터 점주는 내용증명을 보냅니다.내용증명은 종료의 의미 만은 아닙니다.타 업체로 옮겨갈 수 있다는 사전 통보이고재계약이 준비됐다는 의미이고실질적으로 협상 시 협의가 안 됐을 시 타업체로 옮길 때 필요한 절차이기도 합니다.내용증명을 보내면 본사에서는 ‘재계약 의사’를 타진하기 시작하죠.내용증명을 받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본사의 속도가 다르게 느껴집니다.내용증명으로서 내 매장이 협상테이블에올라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이때부터 담당 슈퍼바이저(SV)의, 방문 주기, 제안 방식이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..